PallyCon > Content Security  > 포렌식 워터마킹 기술과 적용 분야
forensic-watermark

포렌식 워터마킹 기술과 적용 분야

포렌식 워터마킹이란?

‘포렌식 워터마킹(Forensic Watermarking)’은 ‘디지털 워터마킹’이라는 기술의 한 분야입니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각종 디지털 데이터에 저작권 정보와 같은 비밀 정보를 삽입하여 관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러한 ‘포렌식 워터마킹’ 기술은 삽입 주체와 적용 분야, 그리고 구현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이 글의 내용은 Streaming Video Alliance에서 제안한 ‘Forensic Watermarking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for Streaming Media‘라는 문서를 참고하였습니다. Streaming Video Alliance는 비디오 스트리밍 업계의 여러 업체들이 모여 관련된 기술과 표준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단체입니다.

 

워터마크 삽입 주체 별 분류 

포렌식 워터마크는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Operator Mark (Distributor Mark)

 : 헐리우드 스튜디오 등 콘텐츠 소유자가 삽입. 콘텐츠 유통 채널 또는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의 정보를 삽입하고 추적함.

Session Mark (Subscriber Mark)

 :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삽입. 콘텐츠 서비스의 최종 사용자 정보를 삽입하고 추적함. (사용자 ID, 기기 ID, IP, 타임스탬프 등)

‘Operator Mark’의 경우에는 원본 영상에 추적 대상 별로 고정된 워터마크(Static Watermark)가 적용되어 배포되며, ‘Session Mark’는 최종 사용자가 영상을 재생하는 각 재생 세션마다 고유한 워터마크 정보가 실시간으로 적용(Dynamic Watermark)됩니다. 

 

적용 분야에 따른 분류

movie theatre

Image by Alfred Derks from Pixabay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포렌식 워터마킹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스크리너(Pre-release)

: 영화 개봉 전에 스튜디오 내부/외부 관계자들에게 파일이나 디스크 등의 형태로 사전에 배포되는 콘텐츠. ‘Operator Mark’와 유사한 Static Watermark 적용.

디지털 시네마

: 디지털 필름 형태로 극장에서 상영되는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적용해 불법 촬영에 의한 유출에 대응. 상영관과 상영 시간 정보 등을 워터마크로 삽입.

OTT VOD 서비스

: 온라인 영화 서비스(넷플릭스, 푹 등)의 프리미엄 콘텐츠에 주로 적용. Subscriber Mark를 적용해 불법 유출 시 해당 사용자를 추적.

OTT 라이브 서비스

: 방송 채널 등 라이브/리니어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Subscriber Mark를 적용. 라이브 콘텐츠의 특성 상 재생 지연 시간을 줄이고 빠르게 워터마크를 검출해 추적/차단하는 기술이 필요.

 

 

구현 방식에 따른 분류

재생 시점에 실시간으로 각 사용자 별 고유 정보를 삽입하는 ‘Session Mark (Subscriber Mark)’ 솔루션은 주요 구현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워터마킹

 : 셋탑박스 또는 OTT 클라이언트에서 워터마크를 삽입. 기기 펌웨어 또는 클라이언트 SDK의 형태로 구현.

A/B 방식 서버 워터마킹

 : 서버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A/B 두 가지 버전으로 준비. 재생 시점에 두 버전을 조합해 워터마크 정보를 스트림에 적용. (주로 CDN 엣지에서 조합)

비트스트림 방식 워터마킹

 : 서버 방식과 클라이언트 방식이 결합된 형태. 서버에서 전처리 과정으로 영상 내 워터마크를 삽입할 위치를 설정하고, 메타데이터로 전달된 정보를 이용해 CDN 엣지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워터마크를 삽입.

cloud server

Image by Bethany Drouin from Pixabay

 

구현 방식 별 워터마킹 솔루션 중에서 클라이언트 방식과 서버 방식의 워터마킹은 아래와 같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방식

– 장점: 서비스 백엔드의 서버 인프라 변경이 필요 없음. 재생 지연과 검출 소요 시간이 짧아서 라이브 서비스에 적합.
– 단점: 클라이언트 기기 또는 플레이어와의 연동이 필요. 워터마크 삽입 로직이 클라이언트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하드웨어 기반 보안(TEE) 환경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보안 적용이 필수. 

서버 방식 

– 장점: 클라이언트 연동이 필요 없어 임의의 플레이어/기기 사용 가능. 클라이언트에 워터마킹 로직이 노출되지 않음.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지원해야 하는 멀티 플랫폼 OTT VOD 서비스에 적합.
– 단점: 서버 인프라의 변경 부담. 두 벌의 콘텐츠 저장에 따른 스토리지와 전송 비용 증가. 클라이언트 방식에 비해 검출에 필요한 영상 길이와 재생 지연 시간이 길어짐.

 

각 방식마다의 장단점으로 인해 A/B 방식의 서버 워터마킹은 주로 OTT VOD 서비스에 적합하며,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IPTV 등의 서비스에는 클라이언트 방식 워터마킹이 많이 사용됩니다.

결론

content security

Image by Werner Moser from Pixabay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포렌식 워터마킹 기술은 방송/미디어 업계의 많은 분야에서 여러 가지 목적과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과 미디어 서비스의 매출 보호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여러 분야와 방식에 따른 워터마킹 기술과 제품의 차이점을 이해하여 적합한 솔루션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술 전문 업체인 잉카엔트웍스에서 제공하는 ‘PallyCon 포렌식 워터마킹‘은 클라우드 기반의 포렌식 워터마킹 SaaS 서비스로, ‘PallyCon 멀티 DRM‘ 서비스와 통합되어 하나의 연동 워크플로우를 통해 포렌식 워터마킹과 멀티 DRM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참고 자료